반응형
“ChatGPT가 뻔한 얘기만 하던데요?”
“GPT는 결국 말장난 아닌가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같은 GPT에게도 질문을 다르게 하면 완전히 다른 답변이 나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제는 단순한 명령이나 검색어가 아니라,
**문제를 설계하고 맥락을 줄 수 있는 ‘질문력’**이 진짜 실력인 시대입니다.
🔍 GPT는 ‘질문에 민감한 존재’입니다
ChatGPT, Claude 같은 LLM은
입력된 텍스트(프롬프트)를 기반으로 답을 생성하는 구조입니다.
즉, AI는 이해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사용자의 질문에 따라 가장 가능성 높은 답변을 생성할 뿐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질문이 애매하면 결과도 애매하고,
질문이 구체적이면 결과도 구체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 예시로 비교해볼게요
- ❌ “피카소는 어떤 사람이야?”
→ “스페인의 화가이며 입체파를 창시했어요.” (그냥 요약) - ✅ “피카소가 입체파를 만든 배경과 당시 미술계의 반응까지 설명해줘.”
→ 예술적 맥락 + 시대 배경 + 동시대 작가들과의 관계까지 다룸
(같은 AI인데도 완전히 다른 정보 수준)
⚙️ 요즘 트렌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전략
이젠 단순히 단어 몇 개 넣는 게 아니라,
어떤 흐름으로 질문을 설계하느냐가 중요합니다.
기법설명예시
Chain-of-Thought | 추론을 단계별로 유도 | “먼저 조건 정리하고, 단계별로 생각해줘” |
ReAct | 추론 ↔ 행동 반복 | “필요하면 툴로 검색 후 그걸로 답해줘” |
Few-shot Prompting | 예시를 주고 따라하게 함 | “예시 3개 줄게, 같은 방식으로 작성해줘” |
🙋 좋은 질문, 이렇게 만드세요
좋은 질문의 3요소는:
- 구체성
- 맥락 제공
- 출력 기대 형식 제시
✅ 예시:
-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줘.”
- “표 형태로 정리해줘.”
- “5단계로 나눠서 알려줘.”
❌ 안 좋은 예:
- “왜?” → (맥락 없이 막연함)
- “설명해줘” → (어떤 형식인지 불명확)
- “맞아?” → (앞에 내용이 있어야 의미 있음)
💬 질문 하나 바꿨을 뿐인데…
❌ “업무 자동화 도구 추천해줘”
→ Zapier, Make, IFTTT… 그냥 나열
✅ “비개발자도 쉽게 쓸 수 있고, 구글 시트랑 연동되는 업무 자동화 툴 3가지만 추천해줘. 각각 장단점도 알려줘.”
→ 실무에 맞는 솔루션 + 비교 + 요약까지!
질문을 조금만 바꾸면, 바로 실전에서 쓸 수 있는 정보로 바뀝니다.
🧭 마무리: 이제는 질문하는 실력이 경쟁력입니다
AI가 정보를 잘 정리해주고 요약해주는 건 맞습니다.
하지만 그걸 끌어내는 건 전적으로 “내 질문력”에 달려 있어요.
앞으로는 "검색을 잘하는 사람"보다
"질문을 잘하는 사람"이 더 돋보이는 시대입니다.
프롬프트 작성법보다 먼저,
질문을 설계하는 힘부터 키워보세요.
반응형
'개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PI는 왜 이렇게 많고 복잡할까? 좋은 API 설계의 기준은? (11) | 2025.05.16 |
---|---|
🧠 LLM도 ‘추론 능력’이 다 다르다? Chain-of-Thought란 무엇인가 (10) | 2025.05.14 |
📝 GPTs와 AI 오토메이션: 개발자가 만드는 나만의 AI 비서 (18) | 2025.05.12 |
🤖 요즘 AI가 사내 문서 요약까지 해준다고요? RAG 구조로 보는 AI의 똑똑한 비결 (29) | 2025.05.09 |
🧩 Model Context Protocol(MCP): AI와 데이터의 연결을 표준화하다 (8) | 2025.05.08 |